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92

[자연휴양림] 충청남도 성주산자연휴양림 [자연휴양림] 충청남도 성주산자연휴양림성주산자연휴양림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위치, 휴양림 소개, 등산로, 산책로 안내, 주변관광지 정보 제공.http://seongjusan.brcn.go.kr/ 도로망 장항선철도1) 서울 - 대천역 (05:30 ~ 20:50 / 3시간 / 16회 운행) 2) 장항 - 대천역 (05:30 ~ 19:50 /1시간 / 16회 운행) 경부고속도로1) 천안 IC - 아산 - 홍성 - 보령(40번 국도) - 성주터널 - 성주 - 휴양림2) 유성 IC - 공주 - 청양 - 보령 - 성주터널 - 성주 - 휴양림 서해안고속도로대천IC - 보령 - 성주터널 - 성주 - 휴양림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회덕JC - 유성IC - 공주 - 청양 - 보령 - 성주터널 - 성주 - 휴양림 호남.. 2013. 7. 12.
[자연휴양림] 충청남도 영인산 자연휴양림 [자연휴양림] 충청남도 영인산 자연휴양림영인산 자연휴양림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위치, 주변관광지, 교통편, 시설이용, 예약 안내.http://www.younginsan.co.kr/ 고속철도서울역 → 천안아산역(약36분 소요)용산역 → 천안아산역(약35분 소요)천안아산역(온양온천) → 아산(온양온천) → 영인면(휴양림) 일반열차용산역(장항선) → 온양온천역(05:15 - 19:50 30분 간격, 1시간 30분 소요) 고속버스강남고속버스터미널 → 온양(아산) : ( 06:00 ~21:00 ) → 40분 간격, 1시간 30분 소요동서울터미널 → 온양(아산) : ( 06:10 ~ 21:30 ) → 40분 간격, 1시간 50분 소요 현지교통(시내버스)아산(온양온천) → 영인면[아산방면 시내버스 수시운행(531, .. 2013. 7. 11.
[자연휴양림] 충청남도 칠갑산 자연휴양림 [자연휴양림] 충청남도 칠갑산 자연휴양림칠갑산 자연휴양림 충남 청양군 광대리 위치, 청양목재문화체험장, 주변관광지, 교통편, 시설이용, 예약 안내.http://www.chilgapsan.net/ 시외버스 동서울 → 청양 06:40 / 14:00 / 17:20 (3시간소요)남서울(서초) → 청양 08:10 (3시간소요)강남 → 청양 07:10 / 09:40 / 11:40 / 13:40 / 16:10 / 19:40 (2시간소요)대전 → 청양 전서대전 터미널에서 15분 ~ 30분간격시내버스 청양 → 칠갑산자연휴양림입구 07:30 / 08:15 / 09:50 / 13:30 / 18:10 / 19:10 2013/07/23 - [자연휴양림/충청남도] - [자연휴양림] 충청남도 안면도 자연휴양림 2013/07/23 .. 2013. 7. 11.
[07월 11일] 성 히둘포 축일 [07월 11일] 성 히둘포 축일 성인명히둘포(Hidulph)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트리어(Trier) 활동연도 : +707년경 같은이름 : 히둘뽀, 히둘뿌스, 히둘푸스 성 히둘푸스(Hidulphus, 또는 히둘포)는 독일 남동부 바이에른(Bayern)의 레겐스부르크(Regensburg) 태생으로 후에 트리어의 주교로 착좌하였다. 그는 설교보다는 표양으로 수많은 개종자를 교회로 이끌었고, 그리스도의 정신을 온전히 삶으로 살았던 분으로 널리 알려졌다. 또한 그는 수도생활을 갈망한 나머지 스스로 보주 산맥(Vosges Mountains)으로 은신하여 은둔소를 지었고, 676년에는 오늘날의 생디에(Saint-Die)에 수도원을 짓고 참으로 성스러운 삶을 살았다. [.. 2013. 7. 11.
[07월 11일] 성녀 펠라지아 축일 [07월 11일] 성녀 펠라지아 축일 성인명 : 펠라지아(Pelagia)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20년 같은이름 : 뻴라기아, 뻴라지아, 펠라기아 성녀 펠라기아(또는 펠라지아)는 리키니우스 황제의 박해 때 니코폴리스(Nicopolis)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1일] 성 친데오 축일 [07월 11일] 성 친데오 축일 성인명 : 친데오(Cindeus)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신부, 순교자 활동연도 : +300년 같은이름 : 친데우스, 킨데오, 킨데우스 성 킨데우스(또는 친데오)는 소아시아 팜필리아(Pamphylia)의 사제로 화형을 당해 순교하였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1일] 성 치프리아노 축일 [07월 11일] 성 치프리아노 축일 성인명 : 치프리아노(Cyprian)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치쁘리아노, 치쁘리아누스, 치프리아누스, 치프리안, 키프리아노, 키프리아누스, 키프리안 성 사비누스(Sabinus)와 성 키프리아누스(Cyprianus, 또는 치프리아노)는 로마제국에 의한 교회박해 중에 순교하여 이탈리아의 브레시아(Brescia)에서 오랫동안 공경을 받아왔다. 그들은 아마도 그들이 공경을 받고 있는 프랑스 프와투(Poitou) 지방의 브레스(Bresse)에서 순교했을 것이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1일] 성 요한 축일 [07월 11일] 성 요한 축일 성인명 : 요한(John)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베르가모(Bergamo) 활동연도 : +690년경 같은이름 :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이반,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한스, 후안 성덕과 학덕이 뛰어나 이탈리아 베르가모의 주교로 축성된 성 요한(Joannes)은 재임기간 동안 아리우스(Arius) 이단 퇴치를 위해 전력을 기울였다. 그는 679년에 교황 성 아가토(Agatho)가 소집한 로마의 시노드(Synod)에 참석하였고, 이단자들의 모략에 의하여 죽음을 맞이하였다. 그래서 그는 ‘가톨릭 신앙을 지키기 위하여 아리우스파에 의하여 살해된 순교자’로 공경을 받는다. [출처] 굿뉴스.. 2013. 7. 11.
[07월 11일] 성 올리베리오 플런케트 축일 [07월 11일] 성 올리베리오 플런케트 축일 성인명 : 올리베리오 플런케트(Oliver Plunkett)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대주교, 신학자, 순교자 활동지역 : 아일랜드(Ireland) 활동연도 : 1629-1681년 같은이름 : 올리버, 올리베르, 올리베리우스 성 올리베리우스 플런케트(Oliverius Plunkett, 또는 올리베리오)는 아일랜드 미스(Meath) 지방의 록크루(Loughcrew)에서 태어났다. 그는 1647년에 사제직을 위해 로마(Roma)에 있는 아일랜드 신학원에 들어갔고, 1654년 1월 1일 로마에 있는 포교 신학교에서 사제서품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고향 땅에 닥친 종교적 박해 때문에 바로 귀향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1669년 아마(Armag.. 2013. 7. 11.
[07월 11일] 성녀 올가 축일 [07월 11일] 성녀 올가 축일 성인명 : 올가(Olga)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성녀 신분 : 과부 활동지역 : 키예프(Kiev) 활동연도 : 879-969년 같은이름 : 헬가 러시아의 프스코프(Pskov) 출신인 성녀 올가는 러시아 키예프의 왕자인 이고르 1세(Igor I)와 결혼하였으나, 945년에 남편이 살해되자 수많은 살해자들을 무더기로 처형케 했던 장본인이다. 그녀는 한동안 왕의 섭정이 되어 나라를 다스리던 중 957년에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에서 세례를 받으면서 생활을 완전히 개혁하였다. 이때부터 그녀는 백성들의 그리스도교화를 위하여 노심초사하는 한편, 오토 1세 황제에게 선교사를 요청하기까지 하여 그녀의 아들인 스뱌토슬라프(Svyatoslav)를 개종시키려 하였으나.. 2013. 7. 11.
[07월 11일] 성 야누아리오 축일 [07월 11일] 성 야누아리오 축일 성인명 : 야누아리오(Januarius)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20년 같은이름 : 야누아리우스, 자누아리오, 자누아리우스 성 야누아리우스(또는 야누아리오)는 리키니우스 황제의 박해 때 니코폴리스(Nicopolis)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1일] 성 아분디오 축일 [07월 11일] 성 아분디오 축일 성인명 : 아분디오(Abundius)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신부, 순교자 활동연도 : +854년 같은이름 : 아분디우스 에스파냐의 사제였던 성 아분디우스(또는 아분디오)는 이슬람의 박해로 순교하였다. 그는 그리스도교 신앙을 버리라는 명령을 거부하고 코르도바(Curdoba)에서 체포되었다. 그리고 그 도시의 통치자인 칼리프 앞에 불려갔을 때 그는 그리스도교와 교회에 대해 설교를 하였다. 칼리프는 그에게 참수형 판결을 내렸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1일] 성 사비노 축일 [07월 11일] 성 사비노 축일 성인명 : 사비노(Sabinus)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사비누스, 싸비노, 싸비누스 성 사비누스(또는 사비노)와 성 키프리아누스(Cyprianus)는 로마제국에 의한 교회박해 중에 순교하여 이탈리아의 브레시아(Brescia)에서 오랫동안 공경을 받아왔다. 그들은 아마도 그들이 공경을 받고 있는 프랑스 프와투(Poitou) 지방의 브레스(Bresse)에서 순교했을 것이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1일] 성 비오 1세 축일 [07월 11일] 성 비오 1세 축일 성인명 : 비오 1세(Pius I)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교황, 순교자 활동연도 : +154년경 같은이름 : 비우스, 피오, 피우스 루피누스(Rufinus)의 아들로서 아퀼레이아(Aquileia) 태생인 성 비오는 “목자”의 저자인 헤르마스의 연인인 듯 여겨지며, 후일에 해방된 노예였다. 그는 140년경에 교황 성 히기누스(Hyginus)를 계승하였고, 그의 재임 기간에는 발렌티누스주의(Valentinianism) 이단과 마르키온(Marcion)의 영지주의 이단 때문에 큰 곤욕을 당했는데, 이들은 모두 비오 1세로부터 단죄를 받았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1일] 성 베네딕토 축일 [07월 11일] 성 베네딕토 축일 성인명 : 베네딕토(Benedict)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수도원장, 설립자 활동지역 : 누르시아(Nursia) 활동연도 : 480?-547년? 같은이름 : 베네데토, 베네딕도, 베네딕또, 베네딕뚜스, 베네딕투스, 베네딕트, 분도 서방 수도생활의 아버지인 성 베네딕투스(Benedictus, 또는 베네딕토)는 480년경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Umbria) 지방의 누르시아에서 태어나 부유한 가정에서 성장했다. 그는 로마(Roma)에서 수학하였으나 도시생활의 혼란과 방종이 그로 하여금 광야로 가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500년경에 그는 그곳에서 30마일 떨어진 엔피데로 갔다가 은수자의 생활을 하기로 결심하고 수비아코(Subiaco)에 정착하였다. .. 2013. 7. 11.
[07월 11일] 성 마르치아노 축일 [07월 11일] 성 마르치아노 축일 성인명 : 마르치아노(Marcian)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마르치아누스, 마르치안, 마르키아노, 마르키아누스, 미르시안 성 마르키아누스(Marcianus, 또는 마르치아노)는 고대 소아시아 중남부 지방인 리카오니아(Lycaonia)의 이코니움(Iconium)에서 순교한 청년이다. 그가 순교 중에 보여준 용기에 대한 증언이 전해온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1일] 성 드로스탄 축일 [07월 11일] 성 드로스탄 축일 성인명 : 드로스탄(Drostan) 축일 : 7월 11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디어(Deer) 활동연도 : +610년경 같은이름 : 드로스딴, 드루스딴, 드루스탄 성 드로스탄은 아일랜드의 궁중 혈통을 지녔던 사람인데, 성 콜룸바(Columba)의 지도하에 수도생활을 하였다. 스코틀랜드 애버딘셔(Aberdeenshire)의 디어에 수도원을 세웠을 때 그가 첫 번째 원장이 되었다. 그후 그는 앵거스(Angus)의 글리네스크(Glenesk)로 가서 은수자로 생활하였다. 그의 성덕과 인품은 주위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수많은 기적이 일어났다. 그의 서거 후 유해는 아버도(Arberdour)의 경당에 모셔졌고, 오늘날도 이 지역 사람들은 그의 축.. 2013. 7. 11.
[07월 10일] 성 필립보 축일 [07월 10일] 성 필립보 축일 성인명필립보(Philip)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2세기 같은이름 : 비리버, 필리뽀, 필리뿌스, 필리포, 필리포스, 필리푸스, 필립, 필립부스, 필립뽀, 필립뿌스, 필립포, 필립푸스 성 알렉산데르(Alexander)는 6세기 초 교황 성 심마쿠스(Symmachus, 7월 19일)에 의해 로마 미사경본에 이름이 추가된 순교자에 속한다. 그러나 그의 역사성은 분명하지 않다. 그는 이탈리아 로마의 살라리아(Salaria) 가도에 있는 묘지에 7명의 순교자 중 한 명으로 묻혀 있었다. 이 7명의 순교자들은 안토니우스 피우스 황제 때 이교도의 신상에 희생제물 바치기를 거부하고 순교한 성녀 펠리치타(Fel.. 2013. 7. 11.
[07월 10일] 성 펠릭스 축일 [07월 10일] 성 펠릭스 축일 성인명펠릭스(Felix)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펠리체 성 나보르(Nabor), 성 마리누스(Marinus), 성 야누아리우스(Januarius)와 성 펠릭스는 고대 순교자 목록에 이름이 기록된 아프리카의 순교자들이다. 그러나 그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0일] 성 펠릭스 축일 [07월 10일] 성 펠릭스 축일 성인명펠릭스(Felix)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2세기 같은이름 : 펠리체 성 알렉산데르(Alexander)는 6세기 초 교황 성 심마쿠스(Symmachus, 7월 19일)에 의해 로마 미사경본에 이름이 추가된 순교자에 속한다. 그러나 그의 역사성은 분명하지 않다. 그는 이탈리아 로마의 살라리아(Salaria) 가도에 있는 묘지에 7명의 순교자 중 한 명으로 묻혀 있었다. 이 7명의 순교자들은 안토니우스 피우스 황제 때 이교도의 신상에 희생제물 바치기를 거부하고 순교한 성녀 펠리치타(Felicitas, 11월 23일)의 아들들로 별 근거 없이 주장되었다. 그들은 네 번의 재판을 받고 서로 다른 방.. 2013. 7. 11.
[07월 10일] 성 테오도시오 페체르스키 축일 [07월 10일] 성 테오도시오 페체르스키 축일 성인명테오도시오 페체르스키(Theodosius Pechersky)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러시아(Russia) 활동연도 : +1074년 같은이름 : 떼오도시오, 떼오도시우스, 테오도시우스 러시아 바실코프의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난 성 테오도시우스 페체르스키(또는 테오도시오 페체르스키)는 스스로 안락한 생활을 포기하고 농노들과 함께 들에서 노동을 하고 손수 빵을 구워 먹으며 고행자의 옷을 입고 지냈다. 1032년 그는 성 안토니우스 페체르스키(Antonius Pechersky)가 키예프(Kiev)에 세운 동굴 수도원에서 은수자가 되었고 후에 그곳 발람 수도원의 원장직을 계승하였다. 그는 성 안토니우스의 은수 수도원.. 2013. 7. 11.
[07월 10일] 복자 엠마누엘 루이스 축일 [07월 10일] 복자 엠마누엘 루이스 축일 성인명엠마누엘 루이스(Emmanuel Ruiz)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복자 신분 : 수도원장, 순교자 활동연도 : +1860년 같은이름 : 에마뉘엘, 임마누엘 크림 전쟁(Crimean War) 후 파리(Paris)의 의회는 터키에 대하여 오토만 황제의 어떤 개혁, 즉 터키 내의 소수집단인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올바른 대우를 요구하였고, 1856년에는 술탄이 칙령을 내려 제국 내의 모든 신하들은 인종과 종교 차별을 두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래서 그리스도교의 자유가 확대되고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던 중, 1860년에 어느 청년 그리스도인과 힌두교인 사이의 논쟁이 화근이 되어 대학살이 시작되었다. 그 해 5월 30일과 6월 26일 사이에 레바논(Lebano.. 2013. 7. 11.
[07월 10일] 성 야누아리오 축일 [07월 10일] 성 야누아리오 축일 성인명야누아리오(Januarius)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야누아리우스, 자누아리오, 자누아리우스 성 나보르(Nabor), 성 마리누스(Marinus), 성 야누아리우스(또는 야누아리오)와 성 펠릭스(Felix)는 고대 순교자 목록에 이름이 기록된 아프리카의 순교자들이다. 그러나 그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07월 10일] 성 야누아리오 축일 [07월 10일] 성 야누아리오 축일 성인명야누아리오(Januarius)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2세기 같은이름 : 야누아리우스, 자누아리오, 자누아리우스 성 알렉산데르(Alexander)는 6세기 초 교황 성 심마쿠스(Symmachus, 7월 19일)에 의해 로마 미사경본에 이름이 추가된 순교자에 속한다. 그러나 그의 역사성은 분명하지 않다. 그는 이탈리아 로마의 살라리아(Salaria) 가도에 있는 묘지에 7명의 순교자 중 한 명으로 묻혀 있었다. 이 7명의 순교자들은 안토니우스 피우스 황제 때 이교도의 신상에 희생제물 바치기를 거부하고 순교한 성녀 펠리치타(Felicitas, 11월 23일)의 아들들로 별 근거 없이 주장되었.. 2013. 7. 11.
[07월 10일] 성 알렉산데르 축일 [07월 10일] 성 알렉산데르 축일 성인명 : 알렉산데르(Alexander)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2세기 같은이름 : 알레산드로, 알렉산더, 알렉산델, 알렉싼데르, 알렉싼델 성 알렉산데르는 6세기 초 교황 성 심마쿠스(Symmachus, 7월 19일)에 의해 로마 미사경본에 이름이 추가된 순교자에 속한다. 그러나 그의 역사성은 분명하지 않다. 그는 이탈리아 로마의 살라리아(Salaria) 가도에 있는 묘지에 7명의 순교자 중 한 명으로 묻혀 있었다. 이 7명의 순교자들은 안토니우스 피우스 황제 때 이교도의 신상에 희생제물 바치기를 거부하고 순교한 성녀 펠리치타(Felicitas, 11월 23일)의 아들들로 별 근거 없이 주장되.. 2013. 7. 11.
[07월 10일] 성 안토니오 페체르스키 축일 [07월 10일] 성 안토니오 페체르스키 축일 성인명안토니오 페체르스키(Anthony Pechersky)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은수자 활동지역 : 러시아(Russia) 활동연도 : 983-1073년 같은이름 : 안또니오, 안또니우스, 안소니, 안토니우스, 앤서니, 앤소니, 앤터니 오늘날 우크라이나(Ukraina)의 체르니고프(Chernigov) 부근 루베크(Lubech)에서 태어난 성 안토니우스 페체르스키(Antonius Pechersky, 또는 안토니오 페체르스키)는 젊은 시절 초기 이집트의 수도자들이 했던 것처럼 살기 위해 은수자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생활을 위한 교육이 절실함을 깨닫고 그리스의 아토스 산(Mount Athos)으로 갔다. 그는 여기서 바다 절벽 위에 세.. 2013. 7. 11.
[07월 10일] 성 아폴로니오 축일 [07월 10일] 성 아폴로니오 축일 성인명아폴로니오(Apollonius) 축일 : 7월 10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사르디스(Sardis) 활동연도 : +4세기초 같은이름 : 아뽈로니오, 아뽈로니우스, 아폴로니우스 성 아폴로니우스(또는 아폴로니오)는 소아시아 리디아(Lydia) 지방의 사르디스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이코니움(Iconium)에서 채찍으로 매를 맞고 십자가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교회 미술에서 그는 채찍질을 당하고 십자가에 매달린 모습으로 묘사된다. 때때로 그는 화장용 장작더미 위에 있는 부제로서 표현되기도 한다. [출처] 굿뉴스 http://www.catholic.or.kr/ 2013.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