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들의 교육/우리 문화

[성덕대왕신종]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by 섹시맘1004 2010. 6. 19.
반응형
[성덕대왕신종]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성덕대왕신종에 관한글]

성덕대왕신종에는 두 군데에 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한 면(현재 동면)에는 성덕대왕신종을 만들게 되기까지의 기록인 산문이 있고, 그 반대 면(현재 서면)에는 네 글자씩 50줄로 된 운문과 글을 짓고 쓴 사람, 종을 만든 사람 등이 새겨져 있습니다.
산문은 "성덕대왕신종지명"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종의 이름이 성덩대왕신종 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 다음의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라 경덕왕(재위 742~765)이 선대왕인 성덕왕(재위 702~737)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구리 12만 근으로 큰 종을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승하 하자, 경덕왕의 아들 혜공왕(재위 765~780)이 즉위 7년만인 대력(중국 당나라 대종의 연호) 6년(771년) 신해년 12월 14일에 종을 완성하였다고 합니다.
운문은 우선 삼국을 아우른 신라를 예찬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나라 구석까지 성스러운 교화를 펴 모든 것이 새롭게 뻗어나가게 하고, 다시는 흔들리지 않을 질서르 기반으로 만대의 번영을 누리자는 각오와 다짐을 적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일신라 771년 높이 3,658m, 무게 18,908kg+-2kg, 국보 29호]

성덕대왕신종은 원래 성덕대왕(재위 702~737)의 원찰(왕의 넋을 기리기 위한 사찰)이었던 봉덕사에 있다가 이 절에 폐혀가 되면서 영묘사, 경주읍성 남문 밖, 동부동 옛 국립경주박물관을 거쳐 1975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습니다. 그런데 이 종은 우리들에게는 "에밀레종"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종을 만들 때 어린 아이를 집어넣어 만들었는데, 종을 칠때 나는 소리가 마치 아이가 그 어미를 부르는 소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이야기는 신라의 전설이 망라되어 있는 조선 후기 읍지인 "동경잡기"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아마 1920년대 종을 보다 신비롭게 보이도록 지어진 이야기로 생각 됩니다.
과연 종을 만들 때 어린아이를 집어 넣었을까요?
살생을 금지하여 벌레조차도 죽이지 않는 불료를 믿는 사람들이 어린 아이를 집어 넣어, 중생을 구제한다는 범종을 만들었을까요?
성덕대왕신종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펼친 결과, 사람 뼈를 이루는 성분인 "인"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 종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빼어난 종입니다.
특히 아름다운 종의 형태와 무늬, 심금을 울리는 종소리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빠지지 않습니다.
종 한 가운데 손잡이 달린 향로를 받쳐 들고 있는 비천의 모습은 성덕대왕의 극락왕생을 간절히 염원하는 듯 하지 않나요?

반응형